본문 바로가기

 

대학교 4학년이던 2004년,  

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인 1위는 안철수 아니면 문국현이었다.  

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회사, 대학생들이 가장 가고 싶어하는 회사 순위에도

두 사람의 회사, 즉 안랩과 유한킴벌리는 꼭 들어가 있었다. 

취업을 준비하는 사람으로서 두 회사에 관심이 가지 않을 수 없었다. 

 

돈을 많이 주는 회사도 아니고, 

세계적으로 명성을 날리는 회사도 아니었지만

저 두 사람이 경영하는 회사에 가면

한국의 일반적인 회사와는 확연히 다른,

올바르고, 정직하고, 투명한 경영을 목도하고

나도 덩달아 일반적이지 않고 특별한 회사생활을 할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. 

재벌이니 세습 같은 구태의연한 리더십이 아닌

사회적으로 존경 받는 리더십을 보고 배우며

나 또한 훌륭한 사람이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. 

정말 그렇게 생각했다. 

 

이윽고 가을, 원서를 낼 때가 왔다. 

안랩은 컴퓨터공학 전공자가 아닌 내가 지원할 길이 없었지만

유한킴벌리 공채 소식에는 전공상 내가 지원할 수 있는 포지션이

딱 하나 있었다.

 

'품질관리(대전 근무)'

 

지방으로 간 이야기는 지난 글에 썼으므로 차치하더라도

품질관리라니. 회사 경험이 없던 나도 품질업무가 잘 해도 티 안나고

잘 못하면 사방에서 욕 들어먹는 업무란 것을 알고 있었다. 

그리고 품질관리로 회사생활 시작해서 성공한 사람이 있었던가. 

전혀 기억이 나지 않았다. 주위에 물어봐도 마찬가지였다. 

온갖 직종, 직무에 다 발을 뻗치고 있는 '산업공학'이 내 전공이었지만 

주위 선배 중 '품질관리'를 하고 있는 사람은 한 명도 찾지 못했다. 

무엇보다 난 전공수업 중 '품질관리'를 굉장히 재미없게 들었다. 

 

당시 난 다른 대기업의 '연구기획', '전략기획' 직종에 합격을 한 상태였기에

선택을 해야만 했다.  

 

"회사를 보고 갈 것인가, 아니면 직무를 보고 갈 것인가"

 

20년이 훌쩍 지난 지금. 단언할 수 있다.

직무를 보고 갔어야 했다. 

 

당시 회사를 보고 간 유한킴벌리는 기대했던 것 만큼은 아니지만 정말 좋은 회사였다. 

회사는 젊고 열정이 넘쳤으며, 문국현 사장의 리더십 하에 크게 성장하고 있었다. 

기업문화도 일반 대기업과 달랐다. 사장은 노조나 일반 직원들에게 저래도 되나 싶을 정도로

온갖 정보를 다 오픈하고 있었고, 매출의 1%를 사회에 기부하고 미친듯이 나무를 심어대는 것도 너무 좋았다.  

지방은 출근시간이 7시-4시였는데, 동절기에는 3시 30분까지라 개인시간도 남아돌았다. 

사장님 개인도 카리스마가 넘쳐흘렀고 직원들도 그를 너무도 존경해

언젠가 사업장에 방문하신다고 하니 이미 낸 휴가까지 취소하고 사장님 보러 대기할 정도였다. 

하지만, 

문국현 사장은 유한킴벌리에 있기에는 너무 큰 사람이었다. 

내가 입사한 지 2년 반도 안 되어 그는 

유한킴벌리가 아닌, 한국 사회를 바꿔보겠다고 정계로 뛰어들었고

강력한 리더를 잃은 유한킴벌리는 그 때부터 멋진 모습들을 하나씩 잃어갔다. 

 

그리고, 

회사가 아닌 직무를 선택한 나는

'품질관리' 업무를 4년 반 만에 나와 다른 업무로 옮기게 되었지만

시작이 시작인지라 단박에 완전히 다른 업무로 가진 못하고 

인접업무로의 이동을 되풀이 하다 '전략'이니 '마케팅'이니 하는, 

대한민국에서 그래도 좀 더 이직에 유리한 직무로 오는 데

너무도 오랜 시간이 걸렸다. 

 

내가 한 회사에서 20년 넘게 다니고 있는 것은

물론 유한킴벌리라는 회사가 너무 좋은 회사이기 때문도 하지만, 

내 첫 직무가 '품질관리'였음이 크다.

좀 더 전망있고, 좀 더 여러 회사에 공통적으로 적용되는 직무로 시작했다면

아마 이렇게까지 오래 다니고 있진 않았을 것 같다. 

 

회사보다는 직무다. 

괜찮은 직무로 시작하면

회사가 변해도 나가기 쉽고

회사가 망해도 버틸 수 있는 거다.

 

좋은 회사를 선택해 좋은 조직문화를 경험한 건 분명한 행운이었다.

하지만 좋은 회사에 들어가고 싶다는 당위성에

내가 좋아하지도, 유망하지도 않는 직무를 골랐고

그 대가는, 꽤 길고 험한 커리어의 언덕이었다

 

 

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
» 나는 왜 실패했는가 - #4. 회사가 아닌 직무를 택했어야 했다 문★성 2025.05.11
742 나는 왜 실패했는가 - #3. 공부를 너무 일찍 내려놨다 문★성 2025.05.02
741 나는 왜 실패했는가 - #2. 서울을 떠나지 말았어야 했다 (하편) 문★성 2025.04.23
740 나는 왜 실패했는가 - #2. 서울을 떠나지 말았어야 했다 (상편) 문★성 2025.04.19
739 나는 왜 실패했는가 - #1. 서론 문★성 2025.04.13
738 [잡담] 예전의 방식이 통하지 않음을 인정하라 문★성 2025.03.09
737 [잡담] 좋아하는 것을 포기하기 문★성 2025.02.02
736 [잡담] 성과 개선의 딜레마 문★성 2025.01.03
735 [잡담] 이제 정말 몇 년 안 남았다 문★성 2025.01.01
734 [잡담] 성공학은 이제 안녕이다 문★성 2024.12.30
733 [잡담] 심기일전하겠습니다 문★성 2024.11.30
732 [잡담] 잠이 문제다 문★성 2024.09.29
731 [잡담] 뚱땡이가 되었다 문★성 2024.09.21
730 [잡담] 우린 그 무엇을 찾아 이 세상에 왔을까 문★성 2024.08.24
729 [잡담] 끈질겨요 문★성 2024.06.30
728 [잡담] 2024년 첫 4주 소감 문★성 2024.01.27
727 [잡담] 문성닷컴 20년 문★성 2023.12.31
726 [잡담] 신나야 한다 문★성 2023.12.09
725 [잡담] 김신욱 secret 문★성 2023.11.25
724 [잡담] 뒤숭숭함 secret 문★성 2023.11.09
723 [잡담] 자살하는 사람들 문★성 2023.10.30
722 [잡담] 모든 걸 다 할 수 없다 문★성 2023.10.18
721 [잡담] 글 쓰지 못한 9월 문★성 2023.10.05
720 [잡담] 또 하루가 버려진다 문★성 2023.08.19
719 [잡담] 스토리가 필요해 문★성 2023.08.11
718 [잡담] 질투는 나의 힘 문★성 2023.08.06
717 [잡담] 책임진다고 말하지 마세요 secret 문★성 2023.07.30
716 [잡담] 한 번 꺾이니 돌이키기 어렵네 문★성 2023.07.14
715 [잡담] 상반기 결산 문★성 2023.06.30
714 [잡담] 삶의 고장 문★성 2023.06.18
713 [잡담] 커피 때문일까 문★성 2023.05.20
712 [잡담] 몸의 고장 문★성 2023.05.08
711 [잡담] 가을에는 잎을 떨어뜨려야 한다 문★성 2023.04.19
710 [잡담] 일기를 쓰는 게 힘들어요 문★성 2023.04.07
709 [잡담] 하기 싫은 일을 하기 문★성 2023.03.25
708 [잡담] 즐겁게 살기 문★성 2023.03.20
707 [잡담] 장이 안 좋으면 인생이 불행해져 문★성 2023.03.17
706 [잡담] 처음으로 갤럭시 문★성 2023.03.04
705 [잡담] 기록의 힘 문★성 2023.02.27
704 [잡담] 왜 쓰는 걸까 문★성 2023.02.20
703 [잡담] 교양 없는 사람들 문★성 2023.02.13
702 [잡담] 가파른 노화의 길 문★성 2023.02.05
701 [잡담] 투자 없는 성장이라 문★성 2023.01.28
700 [잡담] 앞으로가 그러지잖아 문★성 2023.01.19
699 [잡담] 몇 주 더 열심히 살아보며 느낀 점 문★성 2023.01.09
698 [잡담] 힘차게 새해를 시작! 문★성 2023.01.01
697 [잡담] 월드컵은 말예요 문★성 2022.12.13
696 [잡담] 코로나 막차 탑승 문★성 2022.12.05
695 [잡담] 시간의 투자가 사람을 특별하게 만든다 문★성 2022.11.15
694 [잡담] 이태원 참사 문★성 2022.11.0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