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[태국실록] 026 - 저...어...에...

문★성 2011.03.07 21:17 조회 수 : 155



(사진은 태국의 유명한 음식 '쏨땀'. 일종의 샐러드인데 젊은 여성들에게 인기가 많다고...)

언변에 아주 능한 사람이 아니고서야
한 번의 끊김도 없이 긴 문장을 말끔하게 말하기란 쉽지 않다.
혀와 입술의 움직임과 더불어 계속해서 머리는 다음 단어, 다음 문장을 생각해야 하는데
아무래도 이 두 기능의 연결은 어느 정도의 시간차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.
때문에 우리는 말 도중에 '저...', '어...', '에...' 와 같은 별 의미없는 짧은 음절들을
넣으면서 일종의 시간 벌기를 하곤 한다.

일본사람의 경우 '아노...'라는 말을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,
미국의 경우 '앤다이...', '소우...' 등을 쓰는 것을 보아왔다.
중국은 잘 기억이 안 나는데, 같은 민족인 대만의 경우 우리 말로 '저기'를 뜻하는
'쩌꺼...'라는 말을 이 경우에 많이들 쓴다. 주로 아저씨들이 쓰는 말이지만 말이다.

그럼 태국의 경우는 어떨까.
태국말의 경우 언뜻 들으면 중국말과 비슷하기도 한데,
중국말에 ㄲ, ㄸ, ㅃ, ㅆ 와 같은 된소리가 많이 들어가는 것에 비해
ㅋ, ㅌ, ㅍ, ㅊ와 같은 탁음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.
'감사합니다'를 뜻하는 '캅쿤캅~'만 봐도 알 수 있다.
중국말이 조금 찐뜩하고 기름기가 있는 편이라면
태국말은 둔탁하고 거친 느낌 이랄까.
사실 듣기엔 두 나라 말 모두 썩 예쁘게 들리지는 않지만 말이다.

이런 말의 특성 때문인지 태국 사람들은 앞서 말한 말 이음을 위해 주로
'크....'를 쓰는 듯 하다. 누가 가르쳐 준게 아니라 내가 들은게 그렇다는 거다.

"그래서 말이지...크.... 내가, 크.... 거기를 갔었는데, 크...."

이런 식으로 말을 한다는 소린데,
그나마 알아듣는게 '크' 밖에 없어서인지 더 잘 들리는 것도 같았다.
아무튼 재밌다. 큰 의미도 없이 자연스럽게 내는 말 이음용 어절까지도
이렇게 각 나라말의 특징을 뚜렷하게 지니고 있으니 말이다.

오늘은 크... 이만 글을... 크... 줄일까 한다. 크....
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
399 [인도실록] 08 - 가네쉬 축제 file 문★성 2011.09.12
398 [인도실록] 07 - 여행지로서의 인도의 매력 file 문★성 2011.09.08
397 [인도실록] 06 - 익숙해지는구나 [2] file 문★성 2011.09.06
396 [인도실록] 05 - 가장 살기 좋은 도시 file 문★성 2011.08.31
395 [인도실록] 04 - 인도미인 어떠세요 [8] file 문★성 2011.08.25
394 [인도실록] 03 - 여기서도 택시가 문제구만 file 문★성 2011.08.21
393 [인도실록] 02 - 잘 먹는게 잘 적응하는 길이란 거죠 (사진추가) [2] file 문★성 2011.08.19
392 [인도실록] 01 - 도착하였으나 별로여라 [2] file 문★성 2011.08.15
391 [인도네시아실록] 06 - 스타벅스의 한국인들 file 문★성 2011.08.14
390 [화요단상] 나는 가수다에서 살아남는 방법 file 문★성 2011.08.07
389 [말레이시아실록] 18 - 안녕을 고합니다 file 문★성 2011.08.06
388 [말레이시아실록] 17 - 근검절약, 좋잖아요 [3] file 문★성 2011.07.24
387 [말레이시아실록] 16 - 과일 다이어트 [3] file 문★성 2011.07.16
386 [말레이시아실록] 15 -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한국한국 file 문★성 2011.07.09
385 [말레이시아실록] 14 - 춘천 가는 기차는 나를 데리고 가네 file 문★성 2011.07.07
384 [말레이시아실록] 13 - 동남아에서 먹히는 얼굴 [4] 문★성 2011.07.03
383 [논설] 우리가 나이들면서 잃어가는 것들 - 4편 '용기' [2] 문★성 2011.07.03
382 [인도네시아실록] 05 - 짧은 인도네시아 방문을 마치고 file 문★성 2011.07.01
381 [인도네시아실록] 04 - 이슬람 선교에 대해서 조심스럽게 한 말씀 드리자면 [2] file 문★성 2011.06.19
380 [인도네시아실록] 03 - 인생은 배움과 얼싸 안고 뱅글뱅글 도는 것 [2] file 문★성 2011.06.18
379 [인도네시아실록] 02 - 인도네시아랑 그다지 관계없는 관계의 기술 file 문★성 2011.06.12
378 [인도네시아실록] 01 - 길거리에서 발효되는 기분이란 file 문★성 2011.06.11
377 [말레이시아실록] 12 - 가끔은 이상하리만큼 일이 안 풀리는 날이 있다 [2] file 문★성 2011.06.05
376 [화요단상] 페이스북에서 배운 리더십 [2] 문★성 2011.05.28
375 [말레이시아실록] 11 - 고마워요!! [2] file 문★성 2011.05.28
374 [말레이시아실록] 10 - 택시가 싫다 file 문★성 2011.05.14
373 [화요단상] 그들과 난 달라 [6] file 문★성 2011.05.10
372 [화요단상] 그땐 참으로 뜨거웠었다 [2] file 문★성 2011.05.07
371 [말레이시아실록] 09 - 세계에서 세번째로 높다는 빌딩 앞에서 file 문★성 2011.05.04
370 [말레이시아실록] 08 - 무슬림 여자들 #2 file 문★성 2011.05.02
369 [말레이시아실록] 07 - 다민족 국가는 간판부터가 다르다 file 문★성 2011.05.02
368 [말레이시아실록] 06 - 힘내자. 힘냅시다. 힘내자구요 file 문★성 2011.04.21
367 [말레이시아실록] 05 - 살 빼기, 가능할까? file 문★성 2011.04.16
366 [논설] 우리가 나이들면서 잃어가는 것들 - 3편 '가능성' 문★성 2011.04.14
365 [말레이시아실록] 04 - 충분히 행복하다 file 문★성 2011.04.12
364 [말레이시아실록] 03 - 무슬림 여자들 file 문★성 2011.04.10
363 [말레이시아실록] 02 - 말레이시아 vs 태국 file 문★성 2011.04.04
362 [말레이시아실록] 01 - 호강에 겹다 [3] file 문★성 2011.04.03
361 [태국실록] 030 - 타이! 캅쿤캅! file 문★성 2011.04.03
360 [태국실록] 029 - 느긋하게 산다는 것에 대한 단상 [4] file 문★성 2011.04.02
359 [태국실록] 028 - 태국문화의 정체성 file 문★성 2011.04.02
358 [태국실록] 027 - 태국인 앞의 한국 사람들은 당당히 어깨를 펴지만 [5] file 문★성 2011.03.13
» [태국실록] 026 - 저...어...에... file 문★성 2011.03.07
356 10년 전의 일기를 올렸습니다 [1] 문★성 2011.03.06
355 [일기] 2001년 2월 10일 - 몸부림 file 문★성 2011.03.06
354 [화요단상] 요즘 기독교 이슈들을 바라보면서 [4] 문★성 2011.03.05
353 난설 - 나이 들면서 잃는 것들 2편!! 문★성 2011.02.28
352 [논설] 우리가 나이들면서 잃어가는 것들 - 2편 '관계' [2] 문★성 2011.02.27
351 [태국실록] 025 - 작은 얼굴과 긴 다리 문★성 2011.02.27
350 [태국실록] 024 - 태국 음식 정말.... [1] file 문★성 2011.02.2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