아마 김형태씨의 글이었을 것이다.
---
어떤 일이든 3000시간을 투자하면 아마추어 수준이 되고
프로수준이 되기 위해선 최소한 5000시간 이상을 투자해야 한다고 합니다.
지금 당신은 무엇을 위하여 여가 시간을 활용하고 계신지 생각해 보십시오.
---
물론 어떤 과학적/통계적 분석에 기반한 것도 아닐테고
임상(?)실험을 거친 것도 아닌, 다만 어느 명사(名士)가
주장한 내용을 옮겨전한 것 뿐일테지만
생각해보면 무조건 틀린 얘기도 아닌 것 같다.
어제 놀러간 회사선배네에서 들은 얘기도
"시집와서 3년 밥하니까 맛이 제법 나더라" 였는데
이것도 따져보면 3년은 1천일이고, 형수가 아침점심저녁을
다 하니까 하루에 3~5시간은 요리에 소요될 것이고
결국 3년이면 3천에서 5천시간은 투자한 셈이니
'아마추어'에서 나아가 '프로'수준까지 이를 수 있었던 게 아닐까 싶다.
나도 지금껏 '제대로' 글 쓰는데 부어넣은 인생을 돌이켜보면,
일기만 20년은 족히 써댔으니 평균10분x300일x20년하면
약 1000시간이 산출되고
여기 문성닷컴 난설 70편 정도에, 영화감상문 350편 정도 썼으니까
약 300시간+700시간 정도 나오는 것 같다.
기타 편지나 여기 포함되지 않은 작문들도 있겠지만
합쳐봤자 도합 3천시간은 안 될 것 같으니
결국 난 아직 '아마추어수준'도 안 되는게 맞다.
결론은 '프로'의 길은 멀고도 멀고도, 참 멀다는 것.
그러니 보는 이 없어도 더 쓰고 더 연습해야 하는 것이지요.
나도 김형태씨 못지 않게
5천시간의 노력 정도면 이루지 못할게 없다고 굳게 믿고 있는 편이다.
(이 글 쓰면서 +10분)
---
어떤 일이든 3000시간을 투자하면 아마추어 수준이 되고
프로수준이 되기 위해선 최소한 5000시간 이상을 투자해야 한다고 합니다.
지금 당신은 무엇을 위하여 여가 시간을 활용하고 계신지 생각해 보십시오.
---
물론 어떤 과학적/통계적 분석에 기반한 것도 아닐테고
임상(?)실험을 거친 것도 아닌, 다만 어느 명사(名士)가
주장한 내용을 옮겨전한 것 뿐일테지만
생각해보면 무조건 틀린 얘기도 아닌 것 같다.
어제 놀러간 회사선배네에서 들은 얘기도
"시집와서 3년 밥하니까 맛이 제법 나더라" 였는데
이것도 따져보면 3년은 1천일이고, 형수가 아침점심저녁을
다 하니까 하루에 3~5시간은 요리에 소요될 것이고
결국 3년이면 3천에서 5천시간은 투자한 셈이니
'아마추어'에서 나아가 '프로'수준까지 이를 수 있었던 게 아닐까 싶다.
나도 지금껏 '제대로' 글 쓰는데 부어넣은 인생을 돌이켜보면,
일기만 20년은 족히 써댔으니 평균10분x300일x20년하면
약 1000시간이 산출되고
여기 문성닷컴 난설 70편 정도에, 영화감상문 350편 정도 썼으니까
약 300시간+700시간 정도 나오는 것 같다.
기타 편지나 여기 포함되지 않은 작문들도 있겠지만
합쳐봤자 도합 3천시간은 안 될 것 같으니
결국 난 아직 '아마추어수준'도 안 되는게 맞다.
결론은 '프로'의 길은 멀고도 멀고도, 참 멀다는 것.
그러니 보는 이 없어도 더 쓰고 더 연습해야 하는 것이지요.
나도 김형태씨 못지 않게
5천시간의 노력 정도면 이루지 못할게 없다고 굳게 믿고 있는 편이다.
(이 글 쓰면서 +10분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