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에 입사한 신입사원의 면모를 확인하였다.
통계자료에 의하면 그들은,
- 평균 1000대 1의 경쟁률을 헤치고 들어왔다
- 93%가 입사전 해외거주경험이 있다
- 50%는 2년 이상 해외생활경험이 있다
- 93%가 외국어로 의사표현에 어려움이 없다
- 80%가 제2외국어에도 자신이 있다
라고 한다. 이거 후덜덜인걸.
나는 저들의 선배이되 저 중에서 하나도 해당이 되지 않는다.
...여보게들. 대체 왜 여기로 온 거야?
...라고 말하고 싶지만 회사일을 설혹 개인홈페이지에서라도
함부로 논해서는 안 될 것이오니
그냥 침묵을 지키련다.
회사가 3개 국어 가능자를 뽑다보니
외대, 어문학부 사람들이 주로 뽑히고
공대는 한 명도 보이지 않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일.
외대나 어문학부는 외국어를 할 수밖에 없는 거고
공대는 전공 숙제에 찌들어 살다보니
외국어 할 시간이 그네만큼 많지 않을 수밖에 없다.
변명이라면 모조리 다 변명이 되겠지만 말이다.
아이구. 이 대접 못 받는 불쌍한 공돌이들.. 이구.
그나저나 관심이 가는 것은
저런 고스펙의 사람들이 과연 이 회사를 얼마나 사랑할 수 있을까 하는 것.
회사에서는 맨날 열정, 긍정적 자세 '따위'를 강조하지만
사실 신입사원에 대한 책임은 90% 회사에 있다.
회사가 저들에게 비전을 심어주고
저런 고스펙에 합당한 대우를 해주고
충분한 기회를 준다면
저들은 누가 나가라고 등떠밀어도 꿈쩍하지 않고 남아
회사의 발전과 번영을 가져다줄 것이다.
분명 능력과 커리어에 걸맞는 큰 기대를 품고 이 회사에 왔을터
저들의 기대수준과 회사의 현실수준이 얼마만큼
싱크로률을 이룰지 지켜볼 일이다.
통계자료에 의하면 그들은,
- 평균 1000대 1의 경쟁률을 헤치고 들어왔다
- 93%가 입사전 해외거주경험이 있다
- 50%는 2년 이상 해외생활경험이 있다
- 93%가 외국어로 의사표현에 어려움이 없다
- 80%가 제2외국어에도 자신이 있다
라고 한다. 이거 후덜덜인걸.
나는 저들의 선배이되 저 중에서 하나도 해당이 되지 않는다.
...여보게들. 대체 왜 여기로 온 거야?
...라고 말하고 싶지만 회사일을 설혹 개인홈페이지에서라도
함부로 논해서는 안 될 것이오니
그냥 침묵을 지키련다.
회사가 3개 국어 가능자를 뽑다보니
외대, 어문학부 사람들이 주로 뽑히고
공대는 한 명도 보이지 않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일.
외대나 어문학부는 외국어를 할 수밖에 없는 거고
공대는 전공 숙제에 찌들어 살다보니
외국어 할 시간이 그네만큼 많지 않을 수밖에 없다.
변명이라면 모조리 다 변명이 되겠지만 말이다.
아이구. 이 대접 못 받는 불쌍한 공돌이들.. 이구.
그나저나 관심이 가는 것은
저런 고스펙의 사람들이 과연 이 회사를 얼마나 사랑할 수 있을까 하는 것.
회사에서는 맨날 열정, 긍정적 자세 '따위'를 강조하지만
사실 신입사원에 대한 책임은 90% 회사에 있다.
회사가 저들에게 비전을 심어주고
저런 고스펙에 합당한 대우를 해주고
충분한 기회를 준다면
저들은 누가 나가라고 등떠밀어도 꿈쩍하지 않고 남아
회사의 발전과 번영을 가져다줄 것이다.
분명 능력과 커리어에 걸맞는 큰 기대를 품고 이 회사에 왔을터
저들의 기대수준과 회사의 현실수준이 얼마만큼
싱크로률을 이룰지 지켜볼 일이다.